건설경기 부진이 이어지면서 건설업 부문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13개월 연속 감소한 반면 실업급여(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1년 만에 23%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전체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44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만명(1.4%) 증가했다. 서비스업에서 19만2000명이 늘어 증가세를 이끌었는데 주로 보건복지, 사업서비스, 전문과학, 숙박음식, 운수창고 부문에서 가입자가 늘었다. 제조업도 같은 기간 3만8000명 늘었지만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를 제외하면 3000명 감소했다.
건설업 부문 고용보험 가입자는 76만7000명을 기록해 1년 전보다 1만3000명이 줄었다. 지난해 8월부터 13개월 연속 감소세다.
저조한 건설업황은 연령별 분석에서도 드러난다. 경제활동인구의 주축인 40대 중 고용보험 가입자는 353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4만2000명 감소했다. 건설업에서 1만6000명 줄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처럼 일자리를 잃은 건설업 종사자들은 실업급여로 몰리고 있다. 지난달 기준 건설업 실업급여 신규 신청자는 1만5000명을 기록했다. 신규 신청자가 1년 전보다 22.9%(2800명)나 늘어난 것이다.
건설업 부문 실업급여 수령 인원은 7만2700명에 달했다. 1년 만에 17.8%(1만1000명) 증가했다. 2022년 8월 5만200명과 비교하면 매년 1만명 넘게 증가한 셈이다.
이는 전체 산업으로 봤을 때 실업급여 신규 신청자와 지급자 수가 모두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전반적인 경기 상황과 별개로 건설업 업황이 좋지 않다는 방증이다. 지난달 전체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8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500명(0.6%) 감소했다.
출처 : https://www.mk.co.kr/news/society/11113520
노무법인 한길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nguilhrm/223777942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