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말

HOME > 정보센터 > 법령 및 판례

제목 제조업 침체·IT산업 부상…수도권-비수도권 임금격차 키웠다 등록일 2023.12.28 10:42
글쓴이 한길 조회 64

노동연구원 일자리 분포보고서

 

임금격차 20156.3% 20209.6%

비수도권 조선자동차 취업 감소

고령화 따른 돌봄 일자리만 확대

수도권은 IT청년 고용 크게 늘어

지역에 신산업 클러스터 형성해야

 

2010년대 중반 이후 제조업 침체와 정보통신업의 활성화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임금 격차가 확대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수도권의 경우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높은 정보통신업과 청년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늘어난 반면, 비수도권은 지역 경제를 이끌던 제조업이 침체한 가운데 이를 메울 취업자 증가도 고령화에 따른 돌봄 산업 정도에 그친 탓이다.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리뷰’ 11월호에 실린 일자리 분포의 지역 격차,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를 중심으로보고서를 22일 보면, 수도권과 비수도권 노동자(35~64)의 평균 임금 격차는 20156.3%에서 20209.6%로 확대됐다. 가령 비수도권 노동자가 100만원을 벌 때 수도권 노동자는 20151063천원을 벌던 데서 5년 뒤 1096천원을 버는 것으로 차이가 벌어졌다는 의미다. 이런 임금 격차는 2013(12.1%) 이후 완화되던 흐름에서 반전한 뒤, 꾸준히 차이를 키운 모습이다.

보고서는 임금 격차 확대 배경으로 우선 비수도권에서 제조업 일자리의 침체를 꼽았다. 비수도권의 제조업·광업 취업자 수는 20152465천명에서 20202301천명으로 줄었다. 조선업 불황, 한국지엠(GM)의 군산 공장 폐쇄 등 지역 제조업 생산기지의 위기가 이어진 시기다.

제조업 침체 이후 국내 노동시장에서 비교적 임금 수준이 높은 양질의 고용을 책임진 정보통신업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일자리를 늘렸다. 수도권의 정보통신업 취업자는 2016571천명에서 2020682천명까지 빠르게 늘어났다. 반면 비수도권의 정보통신업 취업자는 같은 기간 174천명에서 166천명으로 줄어 차이가 벌어졌다.

비수도권의 대부분 업종에서 일자리가 정체하거나 감소한 가운데, 고령화로 인한 돌봄 수요 확대에 따른 보건복지업 취업자는 2016979천명에서 20201231천명으로 꾸준히 늘었다. 다만 보건복지업은 과거 비수도권의 취업 기반이던 제조업이나 수도권의 정보통신업에 견줘 상대적으로 저임금을 받는 업종으로 꼽힌다. 격차를 만회하기 힘든 셈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강동우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비수도권에서 임금이 높은 제조업 일자리의 양과 질이 모두 하락해 지식 기반 산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를 키우는 수도권과의 격차는 지속해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이미 수도권 중심으로 형성된 지식 기반 산업의 인위적인 지역 재편은 어려운 상황인 만큼, 에너지 등을 중심으로 신산업 클러스터를 비수도권에서 형성하는 등 산업적 변화를 고민해야 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https://blog.naver.com/hanguilhrm/223305383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