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말

HOME > 정보센터 > 노동소식

제목 고령층 3명 중 1명은 단순노무직 등록일 2025.06.26 13:37
글쓴이 한길 조회 32

65살 이상 고용률 38.2% ∙∙∙ OECD 최고
경력 못살리고 질 낮은 일자리 떠밀려

 

우리나라 65살 이상 고령층이 세계 주요 나라와 비교해 가장 많이 일터로 나서고 있지만 주로 노동조건이 열악한 일자리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예산정책처가 최근 펴낸 고령층의 경제활동 실태 및 소득 공백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 65살 이상 고용률(65살 이상 인구 중 취업자의 비율)2024년 말 기준 38.2%. 국제 비교가 가능한 2023년 말 기준으로 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이는 회원국 평균(13.6%)은 물론 대표적인 고령화 나라인 일본(25.3%)보다도 크게 높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고령층이 은퇴 이후에도 연금만으로는 생계를 충분히 꾸리기 어려워 다시 일자리 전선에 뛰어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4년 기준 연금 소득자인 65살 이상 고령층의 연령별 월평균 연금 소득은 7487만원으로, 1인 가구 월 최저 생계비 134만원(중위소득의 60%)에 크게 못 미쳤다.

 

일자리 질도 열악했다. 65살 임금근로자 가운데 61.2%가 비정규직이고, 이 비율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점차 늘어나 70살에는 85.1%에 이른다. 65살 취업자의 49.4%는 종사자 10인 미만의 영세 사업체에서 일했고, 단순노무직이 35.4%로 가장 많았다.

 

이는 급격한 임금 저하로도 이어졌다. 정년 이전 나이인 5559살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3509천원이었으나, 은퇴 이후 재취업하는 연령대인 6064살은 2789천원으로 쪼그라들었다.

 

보고서는 고령층의 임금 저하와 고용 불안정의 배경으로 경력 단절문제를 꼽았다. 청장년 시절 몸담았던 생애 주된 일자리를 떠나 재취업한 65살 이상 임금근로자 가운데 53.2%, 현재 종사하는 일이 과거 경력과는 전혀또는 별로관련이 없다고 응답했다.

 

보고서는 고령층의 과거 경력과 관련성이 높은 일자리에 오래 머물도록 고령층을 위한 재취업 지원과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안태호 기자eco@hani.co.kr

 

 

https://blog.naver.com/hanguilhrm/223912370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