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 사이트맵

about us business product customer
  • 인사말

HOME > 정보센터 > 노동소식

제목 남성 육아휴직 비중 30%대 처음 넘어 등록일 2025.06.11 15:38
글쓴이 한길 조회 306

매일노동뉴스 2025-06-11
남성 육아휴직 비중 30%대 처음 넘어
   
스크롤 이동 상태 
 
 
  
▲ 자료사진 매일노동뉴스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중 남성 비율이 처음으로 30%를 돌파했다. 올해 육아휴직 제도 확대로 남성 사용자수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등 일·육아 지원제도 혜택을 받은 수급자는 25만6천771명으로, 2023년 23만9천529명 대비 1만7천242명(7.2%) 증가했다. 이 중 육아휴직자는 13만2천535명으로 2023년 12만6천8명보다 6천527명(5.2%) 늘었다. 출생아수 감소 추세로 2023년 감소했던 육아휴직 사용자는 지난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육아휴직자 중 남성은 4만1천829명으로 31.6%를 차지했다. 이 수치가 30%대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15년 남성 육아휴직자는 4천872명(5.6%)이었는데 9년 새 9배가량 늘어난 것이다.

육아휴직자 증가세는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다. 올해 1월1일부터 2월18일까지(30일 영업일 기준) 전체 육아휴직 사용자는 1만8천605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6% 증가했다. 이 중 남성은 5천688명으로 지난해보다 69.2% 늘었다.

‘부모함께 육아휴직제’가 확대된 데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자녀 생후 18개월 이내 부모 모두 6개월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육아휴직급여를 최대 450만원 받을 수 있는 제도다. 지난해 이 제도의 혜택을 받은 육아휴직 사용자는 5만1천761명으로 전년보다 2.16배 증가했다.

지난해 육아휴직자를 기업규모별로 보면 중소기업(우선지원대상기업) 소속이 7만5천311명(56.8%)으로 전년 대비 1.2%포인트 증가했다. 100명 미만 소속 노동자도 6만128명(45.4%)으로 2023년 대비 0.9%포인트 늘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는 2만6천627명으로, 전년에 비해 14.8% 증가했다. 중소기업에서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수급자의 62.8%를 차지했다.

일·육아 지원제도가 올해 대폭 확대되며 사용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1일부터 육아휴직급여가 월 최대 250만원까지 인상됐다. 급여의 25%를 사후 지급하는 방식도 폐지됐다. 이날부터 ‘육아지원 3법’ 시행으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도 초등학교 6학년(만 12세)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확대되고, 단축시간에 대한 급여(주 10시간 단축시 최대 월 50만원→55만원)와 사용기간(최대 2년→3년)도 늘어난다.


 어고은 기자 ago@labortoday.co.kr

출처 : 남성 육아휴직 비중 30%대 처음 넘어 < 취업ㆍ고용 < 일자리 < 기사본문 - 매일노동뉴스

다음글 | 주4일이든 4.5일이든 기업 자율에 맡길 일
이전글 | [매경포럼] 일하고 싶은 아버지, 취업하고 싶은 아들
하단로고
회사소개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오시는길
(합명)노무법인 한길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168번길 3,4층(천천동,부민프라자) | 대표번호 : 031)271-0022 ㅣ Fax : 031)271-0023
Copyright ⓒ 2016 (합명)노무법인 한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