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에 신고된 직장내 성희롱 사건은 매년 증가추세인데 노동부가 올해 1~8월 수행한 ‘직장내 성희롱’ 상담은 지난해 민간 고용평등상담실이 수행했던 상담의 30% 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노동부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
20년 넘게 민간이 맡았던 고용평등상담을 노동부가 직접 수행하게 될 경우 직장내 성희롱 피해자가 갈 곳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이 된 모양새다.
모성보호 상담은 50% 넘게 증가
노동부는 2000년부터 24년간 민간 노동·여성단체에 위탁 운영하던 고용평등상담실 예산 12억1천500만원을 올해 전액 삭감했다. 전국에서 운영하던 19개 고용평등상담실은 문을 닫았다. 대신 노동부는 5억5천1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해 전국 지방노동관서 8곳에 공무직 ‘고용평등상담지원관’을 2명씩 채용했다. 상담과 행정서비스를 연계해 권리구제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취지지만, 예산은 줄었고 상담 인프라도 축소됐다.
이는 상담건수와 질에 영향을 미쳤다. 올해 1~8월 고용평등상담지원관이 배치된 8개 지방노동관서가 진행한 ‘고용평등분야’ 상담건수는 2천52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상담실적(4천74건)의 61.9%였다. 임금체불과 부당해고 등 일반 노동상담은 제외한 수치다.
상담 주제별로 보면 모성보호 상담이 907건에서 1천418건으로 56.3% 늘었지만, 직장내 성희롱 상담은 2천999건에서 971건으로 67.6% 줄었다. 고용상 성차별 사건은 168건에서 134건으로 20% 감소했다.
노동부는 직장내 성희롱 상담이 크게 감소한 이유를 명확히 분석하지 못하고 있다. 노동부 관계자는 “상담자수가 아니라 (상담수는 한 상담자를) 몇 번 상담했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민간은 재상담을 좀 많이 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모성보호의 경우 당연한 권리이고, 보호해야 한다는 인식이 많으니 상담이 많이 들어오는 것 아닐까 한다”고 덧붙였다. 직장내 성희롱 사건의 경우 사안이 복잡한 만큼 초기 상담이 재상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정부가 진행하는 상담에서 재상담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
김혜정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은 “육아휴직 등 모성보호는 이미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정책 기조”라며 “직장내 성희롱 상담이 줄고 모성보호 상담이 늘어난 것은 정부가 허용하는 상담 분야에서 (상담사가) 권한을 가지고 지원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분야에서는 전문성이 반감된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