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쉬는 청년 인구가 증가하자 정부가 직업계고·일반계고 비진학 청년 대상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신설하고 청년 일경험 지원을 확대한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교육부, 보건복지부 등 8개 관계부처는 1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방안’을 발표했다. 올해 1~10월 ‘쉬었음’ 청년 인구는 41만명이다. 전체 청년 인구의 4.9% 수준이다. 2020년 44만8천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까지 감소했지만 올해 다시 오름세다. 쉬었음 청년은 구직의사가 없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었다고 응답한 청년을 가리킨다.
정부는 이런 현상의 원인을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수시·경력채용 확대로 괜찮은 일자리 기회가 축소돼 청년이 원하는 일자리에 취업이 실패할 경우 구직연장이나 쉬었음을 택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부는 ‘쉬었음 청년’ 유형이 다양한 만큼 재학·재직·구직 단계별 대응책을 내놨다. 올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한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12개교에서 50개교로 늘려 시행하고, 직업계고·일반계고 비진학 청년 대상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신설한다. 내년 청년 7만4천명에게 청년 일경험 기회를 제공하고 내년 운영되는 일경험통합플랫폼을 통해 일경험 정보와 직장 매칭을 지원한다.
재직 중인 청년에는 직장 부적응 등으로 노동시장을 이탈하지 않게 44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직장적응을 지원한다. 구직 중인 청년에게는 일상유지 지원, 심리상담 등을 통해 쉬고 있는 청년의 구직단념을 예방하기 위한 ‘청년성장프로젝트(가칭)’를 시행한다. 환경적인 이유로 노동시장에 참여하기 어려운 고립은둔청년, 가족돌봄청년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지원도 나선다.
남재욱 한국교원대 교수(인적자원정책)는 “일경험 프로그램은 한계가 뚜렷하긴 해도 노동시장에서 공채와 같이 대규모로 청년들을 채용하는 방식이 사라져 가는 상황에서 학교와 노동시장을 이어갈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라며 “다만 근본적으로는 청년이 취업하고 싶은 괜찮은 일자리가 부족한 문제이기 때문에 좋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 교수는 “청년 맞춤형 고용서비스는 즉각적 노동시장 진입보다는 장기적 경력설계와 이에 기초한 ‘교육·훈련·고용’을 결합하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