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말

HOME > 정보센터 > 법령 및 판례

제목 직장갑질 119 시즌2 첫걸음은 취약 노동자 온라인 노조 출범“ 등록일 2024.10.02 17:06
글쓴이 한길 조회 831

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2017년 11월1일 문을 연 이후 진행한 상담 건수다. 4일에도 1153명이 온라인 오픈채팅방에 들어와 직장갑질을 토로했다. 매주 약 50건의 제보도 들어온다. 전문 영역별로 183명의 노동전문가, 노무사, 변호사 등이 제보자와 상담해왔다. 이들 가운데 “현장과 가장 가까운 활동가가 되겠다”며 대표로 나선 사람이 있다. 창립 회원서 직장갑질119 2대 대표가 된 윤지영 변호사를 서울 중구 정동 직장갑질119 사무실에서 2월28일 만났다.

 

윤 대표는 사각지대 노동자를 돕는 공익 변호사 활동을 오래 해왔다. 그에게 노동 문제는 “남 일이 아닌 내 일”이었다. 어머니가 돌봄 노동을, 언니는 프리랜서 방송 일을 했다. 비정규직, 청년, 돌봄 등 등 소외된 일터는 생각보다 가까웠다. 윤 대표는 2010년부터 공익변호사들이 모인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에 노동 분야를 새로 만들고, 지난해까지 13년간 활동해왔다.

 

“‘거리에서 꽃 피운 민주주의를 직장서도 꽃 피울 수 있게 하자’는 목표를 듣자마자 ‘이거다’ 싶었죠.”

 

윤 대표는 직장갑질119가 2017년 출범을 준비할 당시 내건 슬로건에서 활동 방향을 찾았다. 노동자들이 자기 목소리를 내는 데 일조하고 싶었다. 창립 멤버로 뛰어들어 7년을 활동했다. 윤 대표 앞에는 정부 통계, 숫자 너머의 적나라한 현장들이 놓였다.

 

직장갑질119의 성과는 보람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출범하자마자 한림대 성심병원 간호사들의 선정적 장기자랑 강요 갑질 제보가 들어왔고, 이를 세상에 알렸다. 당시 상담하던 윤 대표에게도 충격이었다. 사건이 알려지고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 한림대의료원지부가 설립됐다. 단체는 2019년 7월 제정된 직장내괴롭힘법을 만드는데도 일조했다. 직장갑질119 설문조사를 보면, 직장내괴롭힘 경험 비율은 법 제정 전보다는 줄었지만 한계도 있다. 윤 대표는 “법적으로 5년 동안 제·개정이 이뤄져 대단한 성과”라면서도 “노동부 쪽은 직장내괴롭힘 규정을 엄격하게 판단해야 한다며 취지를 왜곡시키고 있다. 조사 방식이나 신고 이후 조치 등 보완할 부분들을 계속해서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윤 대표는 코로나19 대유행 때 직장갑질119 역할을 여실히 느꼈다고 했다. 첫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1월부터 “회사가 휴업하는데, 휴업수당 받을 수 있나”, “갑자기 해고 당했다” 등 이메일이 쏟아졌다. 그는 “노조가 없는 영세 사업장들에서 들어온 제보가 대다수였다”며 “코로나19 팬데믹이 현장에 미친 영향과 문제들을 가장 빠르게 파악하고 대책을 요구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2기 직장갑질119의 목표는 명확하다. 윤 대표는 “개별 사업장에서의 문제 해결도 중요하지만, 결국 노동 정책과 구조의 문제”라며 “기업별 노조를 넘어 좀 더 내가 속한 업종 등에 대해 사회적으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제1의 목표다”라고 말했다. 올해부터는 온라인으로 쉽게 가입하고 익명으로 활동이 가능한 ‘온라인 노조’를 출범시킬 계획이다. 중소 병·의원과 사회복지시설, 강사·트레이너 등을 우선 가입 3대 업종으로 삼았다. ‘출산육아갑질 특별위원회’도 새롭게 등장했다. 윤 대표는 “작은 사업장에서 출산, 육아를 이유로 한 괴롭힘이나 해고 사례가 여전히 너무 많다”며 “출산을 원하는 노동자가 갑자기 해고 당하지 않고 얼마든지 편하게 출산, 육아휴직을 가질 수 있도록 기존 제도가 잘 시행되도록 대응을 집중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출처: 2024년 3월 5일 화요일, 한겨레, 장현은 기자

한길블로그: https://blog.naver.com/hanguilhrm/223604516498